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경제 상식, IT 상식, 역사 상식, 자동차 상식, 그리고 건강 상식까지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지식정보를 알려드리고 있는 너만 성공하자입니다. 오늘 알려드릴 정보는 생활 상식 중 지진과 관련된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지진은 지구 내적인 힘에 의하여 땅속의 거대한 암반이 갈라지면서 그 충격으로 흔들리는 현상으로 지진의 강도를 나타내는 규모 단위는 리히터로 1~3은 민감한 사람이 느끼는 정도, 5이상은 벽에 금이 가고 유리창 파손 등 구조적 피해가 발생하며 7이상은 땅에 금이 가고 건물이 파괴되는 강도입니다.
지진 대피 행동 요령
지진은 우리나라도 더 이상 예외가 아닙니다. 만약 지진이 지금 바로 발생한다면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평소에 지진 대피 행동 요령을 숙지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응해야겠죠.
상황별 지진 대피 행동 요령
지진으로 흔들리고 있는 동안, 탁자 밑으로 들어가 몸을 보호하고 탁자 다리를 꼭 잡으라고 하던데요, 이것이 반드시 맞을까요? 맞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콘크리트 건물이라 1988년 이후 지어진 6층 이상 건물은 내진설계가 되어 있어 붕괴확률이 낮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급히 건물을 빠져나가는 것보다 안전하게 피할 수 있는 공간에 피해있다가 진동이 끝난 뒤에 나가야 합니다. 하지만 내진설계가 안 된 건물은 재빨리 전기와 가스를 차단하고 문을 열고 출구를 확보한 후 신발을 신고 밖으로 나갑니다.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계단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대피합니다. 만약 엘리베이터 안에 있을 경우에는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먼저 열리는 층에서 내려 재빠르게 밖으로 대피합니다.
건물 밖으로 나오면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며, 건물과 거리를 두고 살피며 대피합니다. 대피장소를 찾을 때는 떨어지는 물건에 유의하며 신속하게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자동차로 이동하지 않습니다) 대피 장소에 도착한 후에는 라디오나 공공기관의 안내방송 등 올바른 정보에 따라 행동합니다.
집안에 있을 경우 대피 행동 요령
집안에 있는데 지진이 심해서 몸을 움직이기 힘든 경우에는 주방에서 떨어진 단단한 탁자 아래로 들어가 몸을 보호합니다. 주방에 있는 식탁은 칼과 같은 조리용 도구가 있어 다칠 위험이 크고 가스와 불이 옆에 있어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단단한 탁자가 없다면 화장실이 최선의 대피소입니다. 화장실은 다른 곳보다 튼튼하게 만들고, 최악의 경우에는 물이 있어서 버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화장실 문을 닫아서는 안됩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가스와 전기를 차단하고 물을 열어 출구를 확보한 후 신발을 신고 밖으로 나갑니다. 몸을 움직일 수 있는 경우에는 가스와 전기를 차단하고 밖으로 재빨리 신발을 신고 나갑니다.
집밖에 있을 경우 대피 행동 요령
떨어지는 물건에 대비하여 가방이나 손으로 머리를 보호하며 건물이나 가로등, 전선과 거리를 두고 운동장이나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합니다.
엘리베이터에 있을 경우 대피 행동 요령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내린 후 계단을 이용합니다. 절대로 엘리베이터를 타서는 안됩니다. 만약 엘리베이터에 갇히게 되면 119에 신고하거나 인터폰으로 관리실에 구조요청을 하고 관리자나 구조자가 올 때까지 침착하게 기다립니다.
학교에 있는 경우 대피 행동 요령
책상 아래로 들어가 다리를 꽉 붙잡습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질서 있게 운동장으로 대피합니다.
백화점 마트에 있는 경우 대피 행동 요령
진열장에서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계단이나 기둥 근처에 가 있습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밖으로 나갑니다.
극장, 경기장 등에 있을 경우 대피 행동 요령
흔들림이 멈출 때까지 가방 등 소지품으로 몸을 보호하면서 자리에 있다가,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전철을 타고 있을 경우 대피 행동 요령
손잡이나 기둥을 잡아 넘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전철이 멈추면 안내에 따라 행동합니다.
운전을 하고 있을 경우 대피 행동 요령
건물, 나무, 고가도로, 전선아래, 주변의 정차된 차 등을 피해 비상등을 켜고 서서히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쪽에 세우고 라디오의 정보를 잘 들으면서 키를 꽂아 두고 대피합니다.
고가도로 아래는 고가상판이 떨어져 차가 완전히 부서질 수 있으므로 고가도로 아래에서 신속히 빠져나오도록 합니다.
산이나 바다에 있을 경우 대피 행동 요령
산사태, 절벽 붕괴에 주의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해안에서 지진 해일 특보가 발령되면 높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여기에 알려드린 정보가 100% 정확하다고는 말할 수 없습니다. 모든 것은 상황에 맞춰 가야하니까요. 건물이 무너질 정도의 진도라면 책상 밑에 숨으나 마나, 그리고 밖으로 빠져 나가기도 전에 죽을 테니까요. 하지만 무엇보다 내가 살고 있는 곳과 자주 가는 곳에 내진설계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대피공간과 대피로를 미리 숙지하는 것이 그나마 생존 할 가능성이 높아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