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생활상식

기차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 2가지

어차피 잘 될거야 2018. 12. 28. 16:21

안녕하세요~

경제상식부터 생활상식, 건강상식 그리고 컴퓨터 상식까지 간단한 지식을 알려드리고 있는 너만성공하자입니다. 오늘 알려드릴 정보는 이겁니다.


왜 기차에는 안전벨트가 없을까요? 

날씨와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고, 시속 300km에 달하는 고속열차까지, 편리하고 빠른 장점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기차를 이용하는데요, 하지만 어디서도 안전벨트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기차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



교통수단을 이용할 경우에 안전벨트는 생명줄이라고 불리며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됐지만 왜 기차에 안전벨트가 없을까요? 오늘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차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 2가지


1. 기차의 무게 때문



기차는 약 400톤에 이르는데요, 왠만한 사고가 발생하더라고 무거운 기차가 충격을 모두 흡수해 승객글이 거의 피해를 보지 않기 때문입니다.



제동거리가 짧은 자동차와는 다르게 기차는 운행 중 급브레이크를 밟아도 엄청난 무게 때문에 제동거리가 긴데요, 시속 300km KTX가 급제동을 할 경우 1분의 제동시간이 있고, 제동거리도 3KM에 이르는 등 탈선 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형 인명피해 걱정이 없습니다.


2. 신속한 대피를 위해서



사고가 났을 경우 신속한 대피를 위해서도 안전벨트가 없는데요, 기차는 사고가 나면 차체가 찌그러지면서 압사위험이 있습니다. 이때 안전벨트는 구조작업이나 대피를 방해할 수 있어 오히려 안전벨트가 없는 경우 사망률을 낮출 수있다고 합니다. 



1998년 핀란드에서는 탈선 사고를 겪고 허리 고정방식의 안전벨트를 사용했지만 안전상의 이유로 다시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기차에서는 안전벨트를 착용하는 것보다는 충격완화장치와 비상구 구조를 개선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기차에 안전벨트가 없는 이유, 이제는 아셨죠?

우리나라에서는 자동차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으면 벌금을 낸다는 사실 아시죠? 차량 전좌석입니다. 자동차를 탔을 때 반드시 안전벨트 착용하세요 ~